최근 몇 년간 금값이 급격히 상승하며 "금값이 진짜 금값"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금 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. 오늘은 금값 상승의 역사와 원인, 그리고 투자 전략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금값 상승의 역사
1971년 이전: 금값 고정제
1트로이온스(약 31.1g)당 35달러로 고정.
미국은 35달러를 금 1트로이온스로 교환해주는 금태환제를 유지.
1971년 닉슨의 금태환 중단 선언
금태환 중단 이후 금값은 폭등.
1971년부터 1980년까지 금값은 24배 상승, 850달러에 도달.
1980~1999년: 금값 하락기
폴 볼커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를 20%까지 인상하며 금의 매력 감소.
기술 혁신과 세계화로 금 생산량 증가.
미국과 영국 등 중앙은행의 금 매도로 금값 억제.
1999년 금값은 최저치인 245달러 기록.
2000년 이후: 금값 상승 재개
닷컴버블 붕괴와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금의 해지 기능 재조명.
2000년 금값 300달러 → 2011년 1,895달러로 상승.
2019년 이후: 생산량 정체와 수요 증가
2019년부터 금 채굴량 정체.
금 함유량 감소와 생산 단가 상승.
금값은 2019년 9월 g당 55,000원 → 2025년 1월 g당 128,000원으로 232% 상승.
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
인플레이션
1970년대 미국 물가 5배 상승.
금값은 물가 대비 10배 이상 상승하며 가치 보존 자산으로 재조명.
금 생산량 감소
1940년 이후 전쟁과 가격 고정으로 채굴량 감소.
2019년 이후 채굴 기술 한계와 환경 문제로 생산량 정체.
중앙은행의 금 정책 변화
20세기 후반 금 매도를 통해 가격 억제 시도.
21세기 들어 금 보유량 확대 및 수요 증가.
금의 해지 기능
금융위기나 주식시장 하락기에 금값 상승 경향.
닷컴버블(2000~2009) 동안 금값은 3배 상승, 나스닥 지수는 4분의 1로 하락.
금 투자 시 알아야 할 점
분산 투자
고수익을 원한다면 나스닥 지수나 우량 주식 투자.
그러나 금은 금융시장의 위험을 상쇄하는 해지 기능이 있음.
전체 자산의 1% 이상을 금에 투자하는 것이 적절.
금값 폭등의 조건
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금융위기.
채굴량 감소와 생산 단가 상승.
투자 방법
실물 금: 금화, 골드바.
금 관련 금융 상품: 금 ETF, 금 선물.
금값의 미래
과거 금값 상승과 하락의 원인을 분석해 보면, 금값의 향후 변동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인플레이션, 글로벌 경제 불안, 금 생산 감소가 맞물릴 경우 금값은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따라서 금을 단순히 수익률을 위한 투자가 아니라, 위험 분산과 자산 보호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'money and invest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반계좌와 ISA 계좌 세금비교, ISA 절세 전략 (1) | 2025.01.28 |
---|---|
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와 SCHD 배당 성장률 비교 분석 (1) | 2025.01.23 |
주식 똑똑하게 투자하는 법 (1) | 2025.01.22 |
미국 주식 세금 줄이는 방법 (1) | 2025.01.18 |
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망 (3) | 2025.01.16 |